K-민화 김학영 기자 | 민화民畵는 한국인의 미의식과 생활정신을 담은 전통 예술이다. 고궁의 벽화와 민속박물관의 병풍에 가득하고, 오늘날 20만 명의 민화 인구가 붓을 들고 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진흥법 어디에도 민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공예는 물론이고, 심지어 ‘만화’까지 포함되어 있는데도, 민화는 법제상 이름조차 없다. 이것이 과연 정상인가? 문체부는 K-컬처 세계화를 외친다. 그러나 정작 그 뿌리라 할 수 있는 민화를 법과 정책에서 배제한 채, 외국인 학자나 관람객의 인식에도 못 미치는 태도를 보여 왔다. 고궁과 박물관에 가면 민화가 ‘수두룩’하지만, 문체부의 제도권 예술 분류에는 흔적조차 없다. 전통 예술을 홀대하고 행정 편의주의에 매몰된 결과다. 뿌리를 외면한 문체부의 인식 부재 더 기이한 점은 민화 종목은 없으면서도 ‘민화 한복’과 같은 파생 콘텐츠는 적극 활용한다는 것이다. 정체성은 외면하면서, 변형된 문화상품만 이용하는 것은 기만에 가깝다. 이것은 민화를 ‘취미 미술’쯤으로 치부하고, 국가적 예술 자산으로 보지 않는 문체부의 저열한 인식이자 직무유기다. 20만 명의 민화 인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제도권에서 ‘예술인’으로
민화, By K- Folk Painting Lee Jon-young | K-Folk Painting (Minwha) is not merely an old painting. It is a living art imbued with the hopes, lives, humor, and wisdom of Koreans, and today it has become a vital pillar of K-culture spreading globally. Recently, K- Folk Painting has formed a massive cultural ecosystem domestically, with a population of over 200,000 artists, enthusiasts, and students. This goes beyond simple painting, connecting to education, publishing, merchandise, and tourism industries, becoming a foundation for creating boundless added value. The response overseas is particularl
K-민화 김학영 기자 | 민화는 단순한 옛 그림이 아닙니다. 그것은 한국인의 희망과 삶, 해학과 지혜가 깃든 생활 예술이자, 오늘날에는 세계로 뻗어가는 K-문화의 중요한 축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K-민화는 국내에서만 20만 명에 이르는 작가·애호가·교육생 인구를 형성하며 거대한 문화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그림을 넘어, 교육·출판·상품·관광 산업과 연결되며 무궁무진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의 반응은 놀랍습니다. 벨라루스 국립민속박물관 초청전, 미국 LA 코리아타운 전시 등 국제무대에서 K-민화는 전통적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이 융합된 독창적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호랑이와 봉황, 연꽃과 책가도에 담긴 한국인의 정신과 소망을 신선한 문화 코드로 받아들이며, K-민화를 단순한 민속미술이 아닌 세계가 주목할 예술로 평가합니다. 앞으로 K-민화는 K-뷰티, K-팝, K-드라마에 이어 차세대 K-콘텐츠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 교육과 체험 산업을 통한 연간 최소 1조 원 이상의 시장 가치 - 국제 전시와 기증을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 - 글로벌 경매 시장 진출로서의 투자 가치 - 이 모든 가능성이
K-민화 이존영 기자 | 민화는 한국인의 삶과 염원을 담은 그림이다. 까치와 호랑이, 모란과 연꽃, 십장생과 봉황까지 민화의 모든 소재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복과 장수, 평화와 희망을 기원하는 마음의 기록이었다. 이제 그 민화가 K-민화, K-Folk Painting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나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고 있다. 고궁의 전각 아래에서 빛나는 K-민화 한복은 전통과 현대가 만난 새로운 미학이다. 한복은 몸을 감싸고, 민화는 마음을 덮는다. 붓끝에 새겨진 상징들이 원단 위에 살아나면서, 한복은 단순한 의복이 아니라 움직이는 민화로 다시 태어난다. 세계문화진흥재단은 이를 바탕으로 K-민화 한복 패션쇼, 국제 전시,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전통과 색채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K-Folk Painting, 한국 민화의 세계적 이름 K-민화는 단순히 ‘한국의 민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한국의 정서를 담은 세계적 브랜드이자, K-Folk Painting으로서 국제 무대에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 언어다. 패션과의 융합 : K-민화 한복,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보여주다. 공예와의 결합 : 도자기, 칠기, 생활 소품에 민화를 입혀 세계인이
K-민화 이성준 기자 | 재단법인 대한민국명인연합회(고유번호 101-82-00607)는 오는 2025년 10월 15일부터 20일까지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에서 「대한민국명인연합회 초청명인대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특정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예술·문화·학문·산업·공예·전통기술 등 모든 분야의 명인을 추대하여 함께하는 국가대표급 행사다. 명인精神, 시대를 넘어 이어지다. 「초청명인대전」은 단순한 전시를 넘어 대한민국 각 분야 명인의 정신과 업적을 기리고, 그 창작정신과 장인정신을 기록하는 공공 플랫폼이다. - “예술은 단절되지 않습니다.” - “명인은 시대를 넘어 기억됩니다.” - “예우와 기록은 곧 문화의 시작이 됩니다.” 이번 전시에는 예술 명인뿐 아니라 학문·과학·산업·문화 전통 분야의 명인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을 이끌어온 명인들의 정신을 한자리에서 조명한다. 전시 개요 & 행사 명칭 한글: 재단법인 대한민국명인연합회 초청명인대전 영문: Korea Masters Association Invitational Exhibition 기간: 2025년 10월 15일(수) ~ 20일(월) 장소: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 참여 명인: 기존 명인,
K-민화 이성준 기자 | 전통 민화 속 익살스러운 호랑이와 토끼의 구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민화에 옻칠을 더하다」가 공개됐다. 옛 민화에서 호랑이는 담배를 피우며 해학과 풍자를 상징했으나, 이번 작품 속 호랑이는 더 이상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오히려 토끼들이 긴 대롱 담뱃대를 멀리 치워내며 금연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담배 피우는 호랑이였으나, 이제는 금연하는 호랑이로 거듭나 금연운동에 앞장선다”는 시대적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단순한 민화가 아니라 민화 위에 옻칠을 더한 독창적 작업으로, K-민화의 새로운 도전이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실험적 시도로 평가된다. 이번 작품은 담화총사曇華總師의 대표작 중 하나로, 오는 10월 열리는 벨라루스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에 기증될 예정이다.
K-민화 이성준 기자 | 2025년 8월 6일 오후 3시,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개최된 제28회 세계평화미술대전 시상식은 전 세계 21개국에서 620여 명의 예술가가 참여해 1,200여 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800여 점이 전시되었다. 시상식에는 200여 명의 내외 귀빈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날 시상식에는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 알리셰르 압두살로모프를 비롯해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 6개국 주한 외교사절단이 함께하여 세계 평화를 향한 예술의 역할에 깊은 공감을 표했다. 개회와 함께 진행된 테이프 커팅식을 시작으로, 내빈 소개, 주최 이사장 인사말, 운영위원장 축사, 심사위원장의 심사평 등으로 이어진 본 시상식은 예술을 통한 평화의 메시지를 재확인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이번 제28회 세계평화미술대전에서는 세계평화미술대상(국회의장상)에 공재완 작가, 종합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에 전병희 작가가 선정되어 상금 300만 원의 상금과 상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부문별 대상(서울시장상)은 신현자, 유현옥, 정주연 작가가 각각 수상하며 각 100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최우수상(예총회장상)은 총 7명이 수상하였으며, 500여 명
K-민화 이존영 기자 | 한미동맹 72주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국 LA 코리아타운 프라자에서 펼쳐진 85인 한국예술가 초대전이 지난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이 전시는 동맹의 역사와 자유의 가치를 예술로 기억하고, 문화로 화답한 뜻깊은 교류의 장이 되었습니다. 공동주최 : 사단법인 미주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 공동주관 : 세계평화미술대전 조직위원회, 재단법인 세계문화진흥재단 전시장소 : 미국 LA 코리아 타운 프라자 7월 21일 ~ 27일까지 후 원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LA총영사관, 광복회 미국서남부지회,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스포츠서울, 선데이저널, 코리아타운프라자, 외교저널, 시민행정신문, 유엔저널, 코리아컬처신문, K-컬처, K-민화
K-민화 이존영 기자 | 세계 각국 예술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로 말하는 평화’의 가치를 나누는 제29회 세계평화미술대전이 오는 2026년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 2~3층 전관에서 성대하게 개최된다. 이번 대전은 2026년 6월 20일부터 25일까지 작품 접수를 시작하며, 8월 12일 오후 3시, 한국미술관 2층에서 공식 시상식이 열린다. 세계평화미술대전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국제적 예술 교류의 장이자, 전 지구적 평화와 화합을 기원하는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존영 조직위원장은 “예술은 국경을 넘고, 평화를 말합니다. 이번 대전은 세계의 다양한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열린 무대이며, 다양한 문화권의 감성과 메시지가 평화라는 이름으로 만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가 대상은 만 18세 이상 전 세계 모든 국적의 예술가이며, 참여 가능한 장르는 다음과 같다. 한국화, K-민화, 서양화, 캘리그라피, 문인화, 사진, 공예, 서각, 섬유아트, 디지털 아트 등 특히 이번 대전은 1인당 2점 이내로 출품이 가능하며, 심사를 통해 입선작에 대해 시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K-민화 이성준 기자 | 글 / 담화총사 | 전통 옻칠기법과 민화의 조형미가 만나 한국적 미의식의 정수를 드러낸 대작 『행렬도行列圖』가 공개됐다. 이 작품은 채화칠기 무형문화재 제1호이자 대한민국명인연합회 인증 명인인 청목靑木 김환경 작가가 약 1년간 혼신을 다해 완성한 궁중 행렬 재현 옻칠화로, 예술성과 문화재적 가치를 동시에 갖춘 전례 없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민화와 옻칠이 만난 최초의 대형 ‘궁중 행렬도’ 『행렬도』는 조선시대 궁중 의례와 왕실 행차의 장엄한 장면을 바탕으로, 수십 명의 인물 군상과 말, 기수, 악공, 궁녀, 백관들이 등장하는 전통 민화 양식을 정교하게 재현한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회화 전체를 옻칠 기법으로 제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민화 회화 사상 보기 드문 시도로, 전통 채화와 칠기 공예를 접목시킨 융복합 예술로 손꼽힌다. 옻칠은 표면의 광택과 깊이감을 더할 뿐 아니라, 천년을 유지하는 보존성과 방부성을 갖고 있어, 이 작품은 단순한 예술작품을 넘어 후대에 남길 ‘정신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옻칠은 단순한 재료가 아닌 생명성과 지속성, 전통성과 신성성을 함께 품은 한국 고유의 공예 정신이다. 표면에 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