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이성준 기자 | 거북, 연꽃 등이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08, 가로 53). 소장품 명칭 : 해구도(海龜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75 / 가로 : 34 소장품 번호 : 민속018500
K-민화 이성준 기자 | 파초와 괴석이 어우러진 그림. 문인화. [之又齋印]이라는 인장이 있으나 鄭遂榮의 작품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傳之又齋作으로 볼 수 있음. 액자형(세로 119, 가로 89.5) 소장품 명칭 : 파초괴석도(芭蕉怪石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 크기 : 세로 : 95.5 / 가로 : 52.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9
K-민화 이성준 기자 | 소나무와 사슴이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11, 가로 59). 소장품 명칭 : 송록도(松鹿圖)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93.4 / 가로 : 39.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8
K-민화 이성준 기자 | 봉황과 매화가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23 , 가로 58). 소장품 명칭 : 봉황도(鳳凰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90 / 가로 : 38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7
K-민화 이성준 기자 | 거북, 물고기, 연꽃 등이 어우러진 그림. '龜蓮相應 錦鱗弄波'라는 화제가 있음. 액자형(세로 125, 가로 59). 소장품 명칭 : 구련도(龜蓮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39.5 / 세로 : 93.4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6
K-민화 이성준 기자 | 烙畵. 老松과 학 두 마리가 어우러진 그림. 月山 朴株淡의 그림으로 7언 대구의 畵題가 있음. 화제 옆에는 두인, 이름 아래에는 아호인과 성명인이 찍혀 있음. 액자형(세로 129, 가로 48.5). 소장품 명칭 : 송학도(松鶴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28.5 / 세로 : 94.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3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본채색(紙本彩色). 양지 바탕에 소나무, 모란, 매화, 포도, 버들, 석류, 학, 봉황, 꾀꼬리, 청둥오리 등이 어우러진 그림. 화폭(세로 80.5, 가로 39.3). 소장품 명칭 : 화조도 10폭 병풍(花鳥圖十幅屛風)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57.5 / 가로 : 393 소장품 번호 : 민속017458
K-민화 이성준 기자 | (8폭) 지본채색. 소상팔경을 배경으로 세상을 피해 산속에 은둔하여 신선처럼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을 그린 은일고사도로 '노자출가도'라고도 함. 8폭 병풍(세로 148.5, 가로 42.5). 소장품 명칭 : 8폭설화도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33.2 / 세로 : 70.5 소장품 번호 : 민속017455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본채색(紙本彩色). 화병, 두루마리지, 붓, 책 등 문방구와 소나무, 괴석, 모란, 석류 등이 어우러진 그림. 화폭(세로 65.5, 가로 37.5). 소장품 명칭 : 책가도 8폭 병풍(冊架圖八幅屛風)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388 / 세로 : 143.5 소장품 번호 :민속017450
K-민화 이성준 기자 | 8曲. 지본채색화조도. 석류·토끼, 소나무·황새, 연꽃·원앙, 단풍·곰, 작약·공작, 복숭아꽃·노루·거북, 매화·부엉이 ·메기, 소나무·까치·호랑이를 각각 8폭으로 그림. 8폭 병풍(세로 181.5, 가로 45.5). 소장품 명칭 : 화조도 8폭 병풍(花鳥圖八幅屛風) 국적/시대 : 한국-일제강점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81 / 가로 : 364 소장품 번호 : 민속017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