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벨라루스 김선아 특파원 |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는 밤마다 거대한 다이아몬드가 빛난다. 그 주인공은 바로 벨라루스 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Belarus)이다. 1922년 설립된 이 도서관은 2006년 새롭게 완공된 현대식 건물을 통해, 지식과 예술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건축가 빅토르 크라마렌코와 미하일 비노그라도프가 설계한 이 도서관은 23층 높이의 다면체 구조로, ‘롬비큐보옥타헤드론(rhombicuboctahedron)’이라는 독특한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는 ‘지식을 품은 보석’을 상징하며, 유리로 이루어진 외벽은 낮에는 태양빛을 받아 반짝이고, 밤이 되면 4,600여 개의 LED 조명이 켜져 도시 전체를 환하게 밝힌다. 민스크 시민들은 이 불빛을 “하늘 위의 팔각등”이라 부르며 사랑한다. 내부에는 약 1,000만 권의 장서와 희귀 고문서가 보존되어 있다. 2,000명이 동시에 열람할 수 있는 열람실, 500석 규모의 컨퍼런스홀, 그리고 민스크 시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23층 전망대까지, 이곳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지식과 예술, 관광이 공존하는 복합 문화의 허브이다. 특히 국립도서관은 지식의 상징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난 11일, 경북 포항교도소에서 특별한 예술 나눔 행사가 열렸다. 한국을 대표하는 K-민화 작가 32인이 전통 민화 작품 34점을 기증하며 재소자들의 정서적 안정과 교화를 위한 따뜻한 뜻을 전했다. 이번 기증 행사는 세계평화미술대전 이존영 이사장과 김동현 대구교정청장의 주도로 추진되었으며, 명지대학교 이미형 교수, 최병환 작가, 강석원 작가 등 민화계 주요 인사들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김동현 대구교정청장은 인사말에서 “예술은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힘이 있으며, 이번 민화 작품 기증이 재소자들의 정서 함양과 건전한 사회 복귀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밝혔다. 기증된 민화 작품들은 포항교도소 내 전시 공간에 비치되어, 교정 공무원들과 재소자 모두가 한국 전통의 미를 느끼고 위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민화는 오랜 세월 동안 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온 민중의 예술로, 정서적 치유 효과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규성 포항교도소장은 “귀한 작품을 기증해 주신 작가 한 분 한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수준 높은 전통 예술의 향유는 교정시설 안에서도 구성원들의 마음을 풍요롭게 할 것입니다”라고 소감을
K-민화 이성준 기자 | 오는 4월 11일, 경상북도 포항교도소에서 뜻깊은 예술 나눔 행사가 열렸다. 한국을 대표하는 K-민화 작가 32인이 민화 작품 34점을 교도소에 기증하며, 재소자들의 정서적 안정과 교화를 위한 따뜻한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기증은 법무부 대구교정청 김동현 청장과 세계평화미술대전 이존영 이사장의 주도로 성사됐다. 작품은 향후 포항교도소 내에 전시되어, 수형자들이 일상 속에서 한국 전통 민화의 아름다움과 치유의 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민화는 예로부터 길상吉祥, 치유, 소망 등의 의미를 담아온 전통 회화로, 그 상징성과 색채, 이야기 속에는 삶의 긍정적 메시지가 깃들어 있다. 이로 인해 교정시설 내에서도 심리적 안정과 자아 성찰을 유도하는 ‘예술 치유’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포항교도소 기증은 지난해 대구교도소 민화 기증에 이어 두 번째다. 이존영 이사장은 코로나19 확산 시기, 전국 교정시설에 마스크 25만 장을 기부한 바 있으며, 이번 기증 역시 그의 지속적인 교정 문화 지원 활동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예술은 마음을 치유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언어입니다. 이번 작품 기증이 재소자들에게 따뜻한 희망의 메시지가 되길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