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교육청(강은희 교육감)은 7월 22일(월)부터 8월 2일(금)까지 11일간 대구학생문화센터 e-갤러리에서 '제10회 교직원 미술전시회'를 개최한다. 2015년 제1회를 시작으로 올해 10회를 맞이한 교직원 미술전시회는 교직원들이 저마다 삶의 이야기를 담은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의미 있는 자리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유·초·중등 교원, 상담교사 등 35명의 교직원이 참여해 ▲서양화, ▲민화, ▲도예, ▲서예, ▲사진, ▲디지털드로잉, ▲염색공예, ▲캘리그라피 등 40여 점의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출품작 중 제주 한 달 살기를 하며 느낀 따뜻한 기억을 차분하고 아름다운 색감으로 표현한 정양경(시교육청) 작가의 ▲여기가, 바다.(조천), 자신의 반려동물 고양이를 독특한 매력과 재치를 가진 인물 초상화로 표현한 서유정(중리초) 작가의 ▲이스텔라의 고양이, "남의 손을 씻다 보면 내 손도 따라 깨끗해지고"로 시작되는 경건한 시를 서예로 써 내려간 이동건(월암초) 작가의 ▲남을 위한 기도, 맑은 호수의 청명함과 시원하게 뻗은 나무, 먼 산을 그려낸 김진영(매천초) 작가의 ▲온새미로 등 많은 작품들이 복잡한 일상을 잠시 떠나, 평온한 마음을 되찾게 해 준
'제7회 남해안남중권 문화예술제'가 하동군문화예술회관에서 지난 10일∼12일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남해안남중권발전협의회(회장 김철우 보성군수, 이하 '남중권협의회') 주최하동군(군수 하승철), 한국예총 하동지회(지회장 손종인) 주관으로 진행됐다. 예술제 기간에는 시화, 미술, 사진, 서예, 서각, 민화 등 각 분야의 작품 전시와 더불어 발효차 시음, 한궁, 뽑기, 무료 팝콘 배부 등 다양한 체험행사가 함께 펼쳐져 관람객에게 참여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하동군립예술단의 식전 공연으로 시작을 알린 10일 개막식에는 9개 참여 시군 단체장과 지역예술인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로 하나 되는 남해안남중권' 비전을 제시했다. 이어서 지역예술인으로 구성된 밴드, 국악, 무용 등 9개 팀의 다양한 문화교류 공연은 참가자와 관람객에게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창작 의욕을 고취하는 기회의 장을 마련했다. 둘째 날 청소년 경연 페스티벌에서는 남해안남중권 지역 중·고등학생 8개 팀이 댄스와 밴드 실력을 뽐냈으며, 비보이팀 MB크루의 화려한 댄스 퍼포먼스 축하공연에 관객의 뜨거운 호응이 더해져 경연장의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마지막 날에는 아마추어 합창단들이 페스티벌이 열려
K-민화 이성준 기자 | 10폭 병풍(세로 181, 가로 43). 농촌을 배경으로 갖가지 농사일과 생활상을 그렸음. 필자는 최우석(崔禹錫)이며 각폭마다 낙관이 찍혀 있음. 소장품 명칭 : 경직도(耕織圖) 국적/시대 : 한국-일제강점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31 / 가로 : 38.5 소장품 번호 : 민속015416
K-민화 이성준 기자 | 8폭(1그림) 병풍(세로 183.5, 가로 70.5). 사람들의 차림은 몽고풍이고 산과 절벽을 배경으로 사냥하는 사람들의 군상(群像)이 그려짐. 첫째폭 우상단에는 필자 행원(杏園)의 낙관이 있음. 소장품 명칭 : 호렵도(胡獵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440 / 세로 : 101 소장품 번호 : 민속015415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본채묵의 10폭 민화병풍(세로 133, 가로 45.5). 잉어 등 민물고기 30, 게 4, 새우 2, 조개 8, 개구리 등이 각각 쌍 또는 가족을 이루어 노는 모습을 그려 가족화목, 자손번창을 상징함. 소장품 명칭 : 어해도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33 / 가로 : 455 소장품 번호 : 민속015130
K-민화 관리자 기자 | 명지대학교 K-민화학과 이미형 주임교수가 타니 쌩랏 태국대사에게 민화작품을 기증했다. 이교수는 주한 외국 대사관에 16번째 한국의 K-민화를 기증 했다.
K-민화 관리자 기자 | 명지대학교 K-민화학과 이미형 주임교수가 주한 라오스 쏭깐 루앙턴 대사에게 민화작품을 기증했다. 주한 외국 대사에게 15번째 한국의 K-민화를 기증했으며 오후에는 주한 태국대사를 만나 한국의 K-민화를 기증 할 예정이다.
K-민화 이존영기자 | 국가유산청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福溫公主家 紅長衫과 大帶)'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純祖)의 딸인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의 혼례복에서 유래한 유물로, 홍장삼은 앞과 뒤를 정교하고 아름다운 자수로 장식한 예복이고, 대대는 홍장삼을 착용할 때 가슴 부분에 두르는 폭이 좁고 긴 장식띠이다. 조선 왕실에서 홍장삼은 후궁과 공주·옹주(翁主), 왕자 부인이 혼례복으로 착용했다. 복온공주는 1818년(순조18) 순조와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의 둘째 딸로 태어나 1830년(순조30) 4월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 1819~1853)와 가례(嘉禮)를 올렸다. 복온공주 가례의 준비 내용과 진행 절차 등을 기록한 『복온공주가례등록(福溫公主嘉禮謄錄)』에서 공주의 혼례용 예복으로 홍장삼을 준비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온공주는 불과 2년 뒤인 1832년 세상을 떠났으나, 홍장삼은 김병주의 후손들에게 전해졌으며 섭성(攝盛) 풍속에 따라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집안의 혼례복으로 사용됐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는 왕실 기
K-민화 이존영 기자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국가유산진흥원과 8월 5일부터 9월 8일까지 ‘고궁 속 아름다운 한복 이야기’를 주제로 한 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 ‘고궁 속 아름다운 한복 이야기’ 사진 공모전은 오는 10월 개최되는 '2024년 제10회 가을 궁중문화축전'의 일환으로, 고궁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우리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국민이거나 국내 거주 외국인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최근 1년 이내에 4대궁(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및 종묘에서 한복을 입고 촬영한 인물 사진을 제출하면 된다. 공모 기간은 오는 5일부터 9월 8일까지이며, 공모전 누리집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1인당 출품 가능한 작품 수는 최대 2점이다. 제출된 작품에 대해서는 1, 2차 심사를 통해 총 50개의 수상작을 선정하여 상장과 상품을 수여한다. ▲ 대상(국가유산청장상) 1명에게는 200만 원 상당의 고급 한복 맞춤권을, ▲ 최우수상(궁능유적본부장상, 국가유산진흥원장상) 2명에게는 각 100만 원 상당의 전통공예문화상품세트를, ▲ 우수상(국가유산진흥원장상) 3명에게는 각 50만 원 상당의 전통공예문화상품세트를, ▲
K-민화 관리자 기자 | 제27회 세계평화미술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주신 주한 외국 대사님을 비롯한 내외 귀빈 여러분, 그리고 작가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동영상 메세지] 이번 대전에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많은 작가님들께서 참가해 주셨습니다. 그로 인해 세계 평화의 꿈을 담은 우리 예술가들의 손길이 우리 모두에게 희망의 빛을 비추고 있습니다. 그들의 캔버스 위에 펼쳐지는 무지개 색깔들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는 마음의 노래와 같습니다. 우리 예술가들은 붓끝에서 피어나는 평화의 꽃을 통해 그 향기를 온 세상에 퍼뜨리고 있습니다. 나라와 민족의 경계를 넘어 하나 된 인류의 소망을 담아낸 여러분들의 작품은 어둠 속에서도 빛나는 별처럼 예술의 힘으로 평화의 밝은 길을 밝히고 있습니다. 모든 이들의 마음과 마음이 연결되는 그 순간, 우리는 모두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세계평화미술대전은 지난 27회 동안 사랑과 화합의 무대로서 모든 국가 간의 사랑과 화합의 이야기가 춤을 추고 있으며, 이곳에서 예술가들의 영혼을 노래하며 평화의 꿈을 이루기 위한 여정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술을 통해 평화를 염원하는 이 미술대전에 다양한 나라와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