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4.4℃
  • 구름많음강릉 10.4℃
  • 구름조금서울 7.1℃
  • 맑음대전 7.1℃
  • 구름많음대구 8.7℃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6.9℃
  • 구름조금부산 7.3℃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8.4℃
  • 맑음강화 2.9℃
  • 맑음보은 3.5℃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4.5℃
  • 구름많음경주시 5.4℃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k-민화뉴스

더보기

민화자료실

더보기

만운 이한기,晩雲 李漢基,죽간체 작품, 한국 전통 민화를 현대적으로

K-민화 이성준 기자 | 만운 이한기晩雲 李漢基,죽간체작품(1921-1995)는 한국 전통 민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대표적인 화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민화의 전통적인 소재와 구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대중과 소통하려는 시도를 보여줍니다. 민화가 가진 색채의 화려함, 상징성, 그리고 독창적 도상을 활용하면서도, 시대와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석과 표현을 통해 전통 회화와 현대 미술의 가교 역할을 했습니다. 이한기의 작품은 민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 연꽃, 학, 국화, 수박 등 다양한 전통 소재를 채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와 미학을 현대 회화의 방식으로 풀어냈습니다. 특히 그가 사용하는 선과 색감은 대담하면서도 섬세하여, 민화 특유의 화려함과 생동감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인의 미적 감각에 맞춘 작품들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만운 이한기는 생전 수많은 전시와 작품 활동을 통해 민화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기여했으며, 한국 미술계에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화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죽간체竹簡體는 죽간(竹簡, 대나무 간)을 모방한 서체로, 고대 중국에서 대나무에 글씨를 새기던 방식을 떠올리게 하는 서체입니다. 이 서체는 선이

해구도(海龜圖)

K-민화 이성준 기자 | 거북, 연꽃 등이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08, 가로 53). 소장품 명칭 : 해구도(海龜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75 / 가로 : 34 소장품 번호 : 민속018500


k-민화 영문기사

더보기

행사 및 전시

더보기

배너

랭킹뉴스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